도메인 속성중에 컨버전루틴을 설정하는 곳이 있습니다.
Output Chracteristics 아래에 Routine.
ALPHA 처럼 5글자로 구성됩니다.
알파컨버전은 대표적인 컨버전루틴(=컨버전엑싯)입니다.
알파컨버전이 걸려 있으면 내부값(디버깅에서볼때)은 앞에 0이 채워져 있습니다.
외부표시(화면에서볼때)는 앞에 0이 지워져 있습니다.
예를들어 내부값은 '0000012345' 이고 외부표시는 '12345' 입니다.
이렇게 내부값과 외부표시를 다르게 사용하는걸 컨버전루틴이라고 합니다.
알파컨버전은 왜 쓰는걸까요?
쓸모가 있습니다. 문자를 숫자처럼 정렬 하기 위해서 입니다.
예를들어 '9' 와 '10' 을 크기 비교하여 정렬한다고 하면 문자 기준으로는 '10' 다음 '9' 순서로 정렬이 됩니다.
하지만 앞에 0을 채워서 같은 길이를 가진다면 '9' 다음 '10' 순서로 정렬이 될 것입니다.
날짜와 시간 타입을 살펴 보겠습니다.
도메인에는 컨버전루틴이 없습니다.
내부값이 '99991231' 이면 외부표시는 '9999.12.31' 로 나오는건 어떻게 된걸까요?
그이유는 User Profile의 Date Format 설정에 맞게 자동 컨버전되기 때문입니다.
컨버전루틴을 만드는 방법은?
만드는 방법이 독특한데요. 규칙에 맞게 펑션 2개를 만들면 됩니다.
알파컨버젼은 위 2개 펑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명명 규칙은 CONVERSION_EXIT_컨버전명_INPUT 과 CONVERSION_EXIT_컨버전명_OUTPUT 입니다.
알파컨버전의 펑션을 복사하여 만드세요.
도메인에 연결을 합니다.
테스트 해보니 잘 되네요.
'ABA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AP ABAP Currency 총정리 (0) | 2024.11.15 |
---|---|
SY-DATUM 과 SY-DATLO 차이 (0) | 2024.01.04 |
abap으로 open API (RESTful) 호출하기 (3) | 2023.12.20 |
abap으로 ZIP 압축하기 (0) | 2023.10.17 |
search help exit 총정리 (0) | 2023.04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