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 Dynpro Application을 열고 Parameters 탭에 가면 여러가지 파라미터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.
여기서는
테이블(ALV포함)의 새로 스크롤바 또는 하단에 1/30 으로 항목번호를 표시하고 이동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,
마우스 오른쪽 버튼 눌러서 나오는 사용자 세팅을 허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고,
css 테마는 어떤것을 사용할지 지정할 수 있고,
등등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관련된 세팅을 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이러한 파라미터를 서버(클라이언트별) 전체 세팅으로 기본값을 지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
WD_GLOBAL_SETTING <-- 웹딘프로 어플리케이션 이름 입니다.
예를 들어 '사용자 세팅'을 모든 웹딘프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사용 못하게 하려면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
Do Not Allow Personalization by the User: 를 체크하고 저장하면 끝입니다.
하지만 이미 사용자 세팅으로 저장된 내용은 계속 적용이 되고 있으므로 이것을 삭제하려면
WD_ANALYZE_CONFIG_USER 를 실행하여 삭제하여야 합니다.
파라미터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아래 SAP HELP를 참고하세요.
http://help.sap.com/saphelp_nw70/helpdata/en/7b/fb57412df8091de10000000a155106/frameset.htm
7.0을 기준으로 파라미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. 버전에 따라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.
•WDACCESSIBILITY
–접근성 사용 여부
–입력 가능 값: ‘X’, ‘ ‘
•WDCONFIGURATIONID
–사용할 Configuration 이름 입력
•WDDELTARENDERING
–델타 렌더링 사용 여부
–입력 가능 값: ‘ON’ , ‘OFF’(기본값)
–델타 렌더링 사용여부를 설정하는 같은 효과를 가지는 다른 방법으로는 sap‑wd‑deltaRendering URL 파라미터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.
•WDDISABLEUSERPERSONALIZATION
–개인화 (사용자 세팅 > 숨기기) 불가 여부
–입력 가능 값: ‘X’, ‘ ‘
•WDDISPLAYSPLASHSCREEN
–웹딘 초기 로딩시 시작로고 표시 여부
–입력 가능 값: ‘X’, ‘ ‘
•WDFORCEEXTERNALSTYLESHEET
–포털과 연동시 자동으로 포털과 웹딘의 CSS 버전을 검사하여 더 최신버전을 사용하는 기본동작을 무시하도록 할지 여부
–입력 가능 값: ‘X’, ‘ ‘
•WDHIDEMOREFIELDHELPASDEFAULT
–웹딘 UI 엘리먼트의 explanation 프로퍼티 표시 숨김 여부
–입력 가능 값: ‘X’, ‘ ‘
•WDPROTECTEDAPPLICATION
–도메인 릴렉싱 공격으로부터 보호 여부
–입력 가능 값: ‘X’, ‘ ‘
–‘X’로 세팅하면 포털과 통합 연동하는 기능이 전혀 작동하지 않음. 예를 들어 포털 이벤트가 작동하지 않음
•WDSHAREDREPOSITORY
–어플리케이션 메타데이터를 shared memory 영역으로 로드 할지 여부.
–입력 가능 값: ‘X’, ‘ ‘
–‘X’로 세팅하면 성능 향상이 있지만,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남
•WDTABLENAVIGATION
–테이블이나 ALV의 스크롤 방식을 지정
–입력 가능 값
•‘ ‘ : 기본값, 테이블 아래에 페이지 방식
•‘PAGINATOR’ : 테이블 아래에 페이지 방식
•‘SCROLLBAR‘ : 테이블 오른쪽에 스크롤 바
•WDTHEMEROOT
–포털의 테마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 테마를 지정
–입력 가능 값
•sap_chrome
•sap_hcb
•sap_highcont
•sap_standard
•sap_tradeshow (웹딘의 기본 사용 테마)
'ABAP > Web Dynpro ABAP(WDA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딘프로에서 메시지 클래스 사용하고 사용처 리스트로 찾을 수 있도록 하기 (0) | 2011.06.30 |
---|---|
NWBC 티코드로 실행 (0) | 2011.06.10 |
웹딘프로아밥 다국어 번역 (0) | 2010.12.01 |
[Link] 웹딘프로아밥 7.02 새기능 공식소개 (0) | 2010.11.30 |
웹딘프로아밥 exit plug를 활용하여 창닫기, 로그아웃 (0) | 2010.11.30 |